목록프로그래밍 (164)
SeouliteLab
파이썬에서는 두 개의 딕셔너리를 합치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두 딕셔너리의 키-값 쌍을 결합하여 새로운 딕셔너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예제: def merge_dictionaries(dict1, dict2): merged_dict = dict1.copy() # 첫 번째 딕셔너리를 복사하여 새로운 딕셔너리 생성 merged_dict.update(dict2) # 두 번째 딕셔너리의 키-값 쌍을 추가 또는 업데이트 return merged_dict dict1 = {'a': 1, 'b': 2} dict2 = {'b': 3, 'c': 4} merged = merge_dictionaries(dict1, dict2) print("합쳐진 딕셔너리..
파이썬을 사용하여 피라미드 패턴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이 패턴은 각 줄마다 별표(*)를 사용하여 피라미드 모양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예제: def print_pyramid(rows): for i in range(rows): print(' ' * (rows - i - 1) + '*' * (2 * i + 1)) rows = 5 print_pyramid(rows) 설명: 위의 코드에서는 print_pyramid 함수를 정의합니다. 이 함수는 피라미드를 출력하기 위해 rows 개수의 줄을 생성합니다. 첫 번째 for 루프에서는 피라미드의 줄을 생성하고, 두 번째 for 루프에서는 공백과 별표를 출력합니다. 각 줄에서는 공백의 개수가 줄어들고, 별표의 개수가 증가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
파이썬을 사용하여 주어진 문자열이 회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겠습니다. 회문은 앞으로 읽으나 뒤로 읽으나 동일한 문자열을 의미합니다. def is_palindrome(s): # 문자열 공백 및 특수문자 제거 s = ''.join(e for e in s if e.isalnum()).lower() # 문자열이 회문인지 확인 return s == s[::-1] # 문자열 입력 받기 string = input("문자열을 입력하세요: ") # 회문 여부 확인 if is_palindrome(string): print("입력한 문자열은 회문입니다.") else: print("입력한 문자열은 회문이 아닙니다.") 위의 프로그램은 파이썬으로 주어진 문자열이 회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우..
파이썬을 사용하여 두 행렬을 곱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겠습니다. 두 행렬을 곱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행렬의 열 수와 두 번째 행렬의 행 수가 같아야 합니다. def multiply_matrices(matrix1, matrix2): # 결과 행렬 초기화 result = [[0 for _ in range(len(matrix2[0]))] for _ in range(len(matrix1))] # 행렬 곱셈 for i in range(len(matrix1)): for j in range(len(matrix2[0])): for k in range(len(matrix2)): result[i][j] += matrix1[i][k] * matrix2[k][j] return result # 첫 번째 행렬 입력 받기 prin..
파이썬을 사용하여 주어진 행렬의 전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겠습니다. 행렬의 전치란 행과 열을 바꾸는 연산을 의미합니다. def transpose_matrix(matrix): # 전치된 행렬 초기화 transposed = [[0 for _ in range(len(matrix))] for _ in range(len(matrix[0]))] # 행렬 전치 for i in range(len(matrix)): for j in range(len(matrix[0])): transposed[j][i] = matrix[i][j] return transposed # 행렬 입력 받기 print("행렬 입력:") rows = int(input("행 수를 입력하세요: ")) cols = int(input("열 수를 입력하..
두 행렬을 더하는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겠습니다. 행렬의 덧셈은 같은 위치에 있는 원소끼리 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def add_matrices(matrix1, matrix2): result = [[0 for _ in range(len(matrix1[0]))] for _ in range(len(matrix1))] # 행렬 덧셈 for i in range(len(matrix1)): for j in range(len(matrix1[0])): result[i][j] = matrix1[i][j] + matrix2[i][j] return result # 첫 번째 행렬 입력 받기 print("첫 번째 행렬 입력:") rows = int(input("행 수를 입력하세요: ")) cols = int(input("..
파이썬을 사용하여 재귀 함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십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겠습니다. 이진수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수 체계를 의미합니다. def decimal_to_binary(n): if n >= 1: decimal_to_binary(n // 2) print(n % 2, end='') # 사용자로부터 십진수 입력 받기 decimal = int(input("십진수를 입력하세요: ")) # 이진수 변환 print(decimal, "의 이진수:", end=' ') decimal_to_binary(decimal) 위의 프로그램은 파이썬의 재귀 함수를 사용하여 주어진 십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함수 decimal_to_binary은 재귀적으로 호출되며, 입력된 십진수를 2로..
파이썬을 사용하여 재귀 함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숫자의 팩토리얼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겠습니다. 팩토리얼은 양의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모든 양의 정수를 곱한 값입니다. def factorial(n): if n == 0: return 1 else: return n * factorial(n - 1) # 사용자로부터 숫자 입력 받기 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 숫자의 팩토리얼 계산 result = factorial(num) # 결과 출력 print(num, "의 팩토리얼은", result, "입니다.") 위의 프로그램은 파이썬의 재귀 함수를 사용하여 주어진 숫자의 팩토리얼을 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함수 factorial은 재귀적으로 호출되며, 이전 숫자의 팩토..
파이썬을 사용하여 재귀 함수를 이용하여 자연수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겠습니다. 자연수의 합은 주어진 숫자까지의 모든 자연수를 더한 값입니다. def sum_of_natural_numbers(n): if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