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 (164)
SeouliteLab
def count_lines(file_path): with open(file_path, 'r') as file: line_count = 0 for line in file: line_count += 1 return line_count # 테스트용 파일 경로 file_path = 'example.txt' # 파일의 줄 수 세기 num_lines = count_lines(file_path) print(f"파일 '{file_path}'의 줄 수:", num_lines) 설명: 이 프로그램은 주어진 파일의 줄 수를 세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count_lines 함수는 파일 경로를 입력받아 해당 파일을 열고, 각 줄을 반복하여 세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with open(f..
from enum import Enum, auto class Color(Enum): RED = auto() GREEN = auto() BLUE = auto() print(Color.RED) print(Color.GREEN) print(Color.BLUE) 설명: enum 모듈을 사용하여 열거형을 정의합니다. 열거형은 서로 연관된 상수들의 집합을 나타내며, 각 상수에는 이름과 값이 지정됩니다. Color 열거형은 RED, GREEN, BLUE 세 가지 색을 정의합니다. auto() 함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상수의 값은 서로 다른 숫자로 자동으로 지정됩니다. Color.RED, Color.GREEN, Color.BLUE 등으로 각 상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제: class MyClass: pass obj = MyClass() print("type() 함수 결과:", type(obj) == MyClass) print("isinstance() 함수 결과:", isinstance(obj, MyClass)) 설명: 위의 코드는 type() 함수와 isinstance() 함수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type(obj) == MyClass: 이 표현식은 객체 obj의 타입을 가져와서 이것이 MyClass와 같은지를 비교합니다. 따라서 이 표현식은 True를 반환합니다. isinstance(obj, MyClass): 이 함수는 객체 obj가 MyClass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를 확인합니다. 즉, obj가 MyClass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객체인지를 판별합니다. 따라서 이..
예제: keys = ['a', 'b', 'c'] values = [1, 2, 3] my_dict = dict(zip(keys, values)) print("두 리스트를 사전으로 변환한 결과:", my_dict) 설명: 위의 코드는 두 개의 리스트를 하나의 사전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zip() 함수를 사용하여 두 개의 리스트를 하나의 튜플 리스트로 묶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튜플 리스트를 dict() 함수를 사용하여 사전으로 변환합니다. 예제에서는 keys 리스트와 values 리스트를 정의하고, zip(keys, values)를 사용하여 두 리스트를 묶은 후 dict() 함수로 사전으로 변환합니다. 그 결과를 my_dict 변수에 저장하고, 출력합니다.
예제: class MyClass: pass obj = MyClass() class_name = type(obj).__name__ print("인스턴스의 클래스 이름:", class_name) 설명: 위의 코드는 파이썬에서 인스턴스의 클래스 이름을 가져오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인스턴스의 클래스 이름을 가져오기 위해 type() 함수를 사용합니다. type(obj)는 인스턴스 obj의 클래스를 반환하고, .__name__을 사용하여 해당 클래스의 이름을 가져옵니다. 예제에서는 MyClass라는 클래스를 정의하고, 이 클래스로부터 인스턴스 obj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type(obj).__name__을 사용하여 인스턴스의 클래스 이름을 가져와서 출력합니다.
예제: import time start_time = time.time() # 측정할 작업 for i in range(1000000): pass end_time = time.time() elapsed_time = end_time - start_time print(f"경과 시간: {elapsed_time}초") 설명: 위의 코드는 파이썬에서 어떻게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지를 보여줍니다. time 모듈을 사용하여 현재 시간을 측정합니다. time.time() 함수는 현재 시간을 초 단위로 반환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작업을 시작하기 전과 작업을 마친 후의 시간을 측정하고, 그 사이의 차이를 구하여 경과 시간을 계산합니다. 예제에서는 100만 번의 반복 작업을 수행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합니다. 시작 시간과 종료..
예제: def extract_extension(file_name): if '.' in file_name: extension = file_name.split('.')[-1] return extension else: return "확장자 없음" file_name = "example.txt" extension = extract_extension(file_name) print(f"{file_name} 파일의 확장자: {extension}") 설명: 위의 코드는 파일 이름에서 확장자를 추출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extract_extension 함수는 파일 이름을 입력으로 받아서 해당 파일의 확장자를 추출합니다. 파일 이름에 '.'이 포함되어 있으면 문자열을 '...
예제: long_string = """이것은 여러 줄로 이루어진 긴 문자열입니다. 여기에는 여러 줄에 걸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print(long_string) 설명: 위의 코드는 여러 줄로 이루어진 긴 문자열을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파이썬에서는 세 개의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을 사용하여 여러 줄에 걸친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제에서는 세 개의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을 사용하여 여러 줄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생성하고, 이를 long_string 변수에 할당합니다. 그리고 print() 함수를 사용하여 해당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예제: def delete_from_dict(input_dict, key_to_delete): if key_to_delete in input_dict: del input_dict[key_to_delete] print(f"'{key_to_delete}' 키가 사전에서 삭제되었습니다.") else: print(f"'{key_to_delete}' 키가 사전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my_dict = {'a': 1, 'b': 2, 'c': 3} key_to_delete = 'b' delete_from_dict(my_dict, key_to_delete) print("업데이트된 사전:", my_dict) 설명: 위의 코드는 사전에..
예제: def append_to_file(file_name, content): try: with open(file_name, 'a') as file: file.write(content + "\n") print(f"'{content}'를 '{file_name}' 파일에 추가했습니다.") except FileNotFoundError: print(f"{file_name}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file_name = "example.txt" content_to_append = "새로운 내용을 추가합니다." append_to_file(file_name, content_to_append) 설명: 위의 코드는 파일에 내용을 추가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append_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