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Laboratory (1387)
SeouliteLab
파이썬에서는 코드를 모듈과 패키지로 구성하여 관리하고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어떻게 패키지를 생성하고 관리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1: 모듈 생성하기 # mymodule.py 파일 생성 def greet(name): return f"안녕하세요, {name}!" 위 예제는 mymodule.py 파일을 생성하여 간단한 함수를 포함하는 모듈을 만드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모듈은 파이썬 코드가 담긴 파일이며, 다른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import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제 2: 패키지 생성하기 my_package/ __init__.py module1.py module2.py패키지는 모듈들의 집합으로, 디렉토리 구조로 구성됩니다. 각 모듈은 패키지 내에서 별도의 파이썬 파일로 ..
파이썬의 기본 딕셔너리는 키-값 쌍을 저장하지만, 순서가 보장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파이썬 3.7 이전 버전에서는 딕셔너리의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 collections 모듈의 OrderedDict 클래스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순서가 있는 딕셔너리를 구현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예제 1: OrderedDict 생성하기 from collections import OrderedDict # 순서가 있는 딕셔너리 생성 ordered_dict = OrderedDict() # 데이터 추가 ordered_dict['apple'] = 10 ordered_dict['banana'] = 20 ordered_dict['orange'] = 15 # 출력 print(..
엑셀 파일은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에 널리 사용되며, 파이썬에서는 openpyx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엑셀 파일을 다룰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엑셀 파일을 생성, 수정 및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1: 엑셀 파일 생성하기 from openpyxl import Workbook # 새로운 워크북 생성 wb = Workbook() # 활성화된 시트 선택 ws = wb.active # 데이터 입력 ws['A1'] = '이름' ws['B1'] = '나이' ws['A2'] = 'Alice' ws['B2'] = 30 # 파일 저장 wb.save("example.xlsx") 이 예제는 ope..
OLE 파일은 객체 링크 및 임베디드 개체를 포함하는 구조화된 문서 형식입니다. 파이썬에서는 olefil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OLE 파일을 다룰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OLE 파일의 구조를 분석하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1: OLE 파일 정보 확인하기 import olefile # OLE 파일 열기 ole = olefile.OleFileIO('example.docx') # OLE 파일 정보 출력 print("파일 이름:", ole.filename) print("루트 요소:", ole.root) # OLE 파일에 포함된 객체 목록 출력 for obj in ole.listdir(): print("객체:", obj) 이 예제는 OLE 파일의 기본 정보를 확인..
OAuth 2.0은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파이썬에서는 oauth2clien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OAuth 2.0 클라이언트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예제를 통해 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1: Google API와의 연동 from oauth2client.client import OAuth2WebServerFlow from oauth2client.tools import run_flow # Google API용 OAuth 2.0 인증 정보 CLIENT_ID = 'YOUR_CLIENT_ID' CLIENT_SECRET = 'YOUR_CLIENT_SECRET' REDIRECT_URI = 'YOUR_REDIRE..
New Relic은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예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 New Relic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를 통해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응답 시간 등의 지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징후 탐지 New Relic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상 징후를 식별하여 잠재적인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응답 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오류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우, New Relic은 해당 이벤트를 감지하고 경고를 발생시킵니다. 코드 성능 최적화 New Relic은 애..
CSS의 마진은 요소의 간격을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margin: auto 0 0 auto;와 같은 값을 가진 마진은 일반적으로 요소를 수평 가운데 정렬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마진의 활용을 다양한 예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1: 수평 가운데 정렬 .example { margin: auto; width: 50%; /* 예시를 위해 너비 지정 */ } 이 예제는 요소를 수평 가운데 정렬합니다. margin: auto;는 위쪽과 아래쪽 마진은 자동으로 조절되고, 좌우 마진은 모두 같은 값이 되어 수평 가운데 정렬을 가능하게 합니다. 예제 2: 오른쪽 하단 고정 .example { margin: 0 0 auto auto; } 이 예제는 요소를 오른쪽 하단에 고정합니다. margin..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안전하게 다루기 위해 MarkupSafe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HTML, XML 및 기타 마크업 언어에서 이스케이프 처리된 문자열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제 몇 가지 예제를 통해 MarkupSafe 라이브러리의 활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1: 이스케이프 처리된 문자열 생성 from markupsafe import escape html_string = "" escaped_string = escape(html_string) print(escaped_string) 이 예제에서는 escape() 함수를 사용하여 HTML 문자열을 이스케이프 처리합니다. 이를 통해 HTML 태그가 렌더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예제 2: 이스케이프 처리된 문자열과 일..
락 파일은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파일을 수정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보호하는 데 사용됩니다. 파이썬에서 락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lockfile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파일을 안전하게 락하고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제 몇 가지 예제를 통해 lockfile 라이브러리의 활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1: 파일 락 생성 및 해제 from lockfile import LockFile # 락 파일 생성 lock = LockFile('example.txt') lock.acquire() # 락 파일 해제 lock.release() 이 예제에서는 LockFile 클래스를 사용하여 락 파일을 생성하고, acquire() 메서드를 사용하여 락을 획득..
LML(Lightweight Machine Learning)은 파이썬으로 작성된 경량 머신 러닝 라이브러리로, 간단한 사용법과 빠른 실행이 특징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간단한 머신 러닝 모델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제 몇 가지 예제를 통해 LML 라이브러리의 활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예제 1: 선형 회귀 모델 구축 from lml.linear_model import LinearRegression from lml.datasets import make_regression from lml.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lml.metrics import mean_squared_error # 데이터셋 생성 X, y = make_reg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