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pplication (2)
SeouliteLab
0. 들어가면서 Network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content, 또는 data) 길이를 헤더에 기술하던가 콘텐츠의 끝이라고 서로간에 약속한 데이터를 마지막에 기술하던가 이도 저도 아니면 open된 stream(socket 포함)을 close를 할때 전송의 끝이라고 인식하게 됩니다. 영화를 보면 무전기를 들어 자신이 할 말이 끝났을 때 항상 끝에 '오바(over)'라고 해 자신이 할 말이 끝났음을 상대방에게 알려 줍니다. 이는 통신 규칙입니다. 1. Content-Length Content-Length는 응답(response)의 header에 정의 되는 것으로 요청한 내용에 대한 실제적인 결과인 body의 길이가 몇 bytes인가를 의미합니다. 클라이언트(통상 브라우져)는 헤더(header)에 ..
LTPA(Lightweight Third Party Authentication) LTPA(Lightweight Third Party Authentication)는 분산 다중 Application Server 및 시스템 환경을 위한 것입니다. 이것은 전달 가능한 신임 및 SSO(single signon)를 지원합니다. LTPA는 암호화를 통해 분산 환경에서 보안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LTPA는 인증 관련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디지털 서명하여 안전하게 전송한 후 암호를 해독하여 서명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LTDA(Lightweight Third Party Authentication)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WebSphere Application Server는 암호화를 사용하는 분산 환경에 보안을 제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