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LS (3)
SeouliteLab
certifi는 파이썬에서 SSL/TLS 인증서를 관리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SSL/TLS 연결에 필요한 루트 인증서를 제공하여 보안 통신을 용이하게 합니다. 아래는 certifi의 주요 기능과 사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기능 1: 루트 인증서 제공 certifi는 HTTPS 연결에 필요한 루트 인증서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파이썬 애플리케이션이 안전하게 HTTPS 연결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예제 1: 루트 인증서 경로 확인 import certifi cafile = certifi.where() print("certifi의 루트 인증서 경로:", cafile) 기능 2: 요청에 사용할 SSL 인증서 설정 certifi를 사용하여 요청에 사용할 SSL 인증서를 설정할 수 있습..
TLS(Transport Layer Security)는 인터넷에서 데이터 통신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토콜 중 하나로, 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안전하게 만들어 줍니다. TLS의 기본 개념 TLS는 SSL(Secure Sockets Layer)의 후속 버전으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TLS는 암호화, 인증 및 무결성 보호를 포함한 여러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보안성을 강화합니다. TLS의 작동 원리 TL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보호하기 위해 공개키 암호화를 사용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공개키를 제공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이 공개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합니다. 서버는 자신의 개인키를 사용하여 이 데이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웹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두 프로토콜 간의 차이점은 웹 보안과 관련이 있습니다. HTTP와 HTTPS의 기본 개념 HTTP: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평문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합니다. HTTPS: HTTPS는 HTTP의 보안 버전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S는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암호화하므로 데이터의 보안성이 향상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