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건문 (5)
SeouliteLab
예제: 숫자의 홀수와 짝수 여부 확인하는 프로그램 # 숫자의 홀수와 짝수 여부 확인하는 프로그램 # 숫자 입력 받기 number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 숫자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확인 if number % 2 == 0: print(f"{number}은(는) 짝수입니다.") else: print(f"{number}은(는) 홀수입니다.") 설명: 위 예제는 파이썬으로 숫자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 받습니다.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 받습니다. 입력된 값은 int() 함수를 사용하여 정수형으로 변환합니다. 입력받은 숫자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확인합니다. % 연산자를 사용하여 입력받은 숫자를 2로 나눈 나머..
예제: 숫자의 양수, 음수, 0 여부 확인하는 프로그램 # 숫자의 양수, 음수, 0 여부 확인하는 프로그램 # 숫자 입력 받기 number = floa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 숫자가 0보다 큰지 여부 확인 if number > 0: print("입력한 숫자는 양수입니다.") # 숫자가 0보다 작은지 여부 확인 elif number < 0: print("입력한 숫자는 음수입니다.") # 숫자가 0인지 여부 확인 else: print("입력한 숫자는 0입니다.") 설명: 위 예제는 파이썬으로 숫자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아니면 0인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 받습니다.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 받습니다. 입력된 값은 float() ..
리스트가 비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작업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Python에서 리스트가 비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길이 확인 가장 간단한 방법은 리스트의 길이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리스트의 길이가 0이면 비어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my_list = [] if len(my_list) == 0: print("리스트가 비어 있습니다.") 2. not 연산자 사용 리스트를 논리적으로 평가할 때, 비어있는 리스트는 False로 간주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not 연산자를 사용하여 리스트가 비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my_list = [] if not my_list: print("리스트가 비어 있습니다.") 3. 조건문..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Switch Case 문법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Python 3.10부터 match case 문법이 도입되어 Switch Case와 유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이를 활용하여 Switch Case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기본적인 Switch Case 가장 간단한 형태의 Switch Case 예제를 살펴봅시다. 이 예제에서는 주어진 숫자에 따라 계절을 출력합니다. def get_season(month): match month: case 3 | 4 | 5: season = "봄" case 6 | 7 | 8: season = "여름" case 9 | 10 | 11: season = "가을" case 12 | 1 | 2: season = "..
1. 리스트 요소와 인덱스 함께 출력하기 enumerate()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의 각 요소와 해당 요소의 인덱스를 함께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리스트를 순회하면서 요소의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fruits = ['apple', 'banana', 'orange'] for index, fruit in enumerate(fruits): print(f"인덱스 {index}: {fruit}") 2. enumerate()의 시작 인덱스 지정하기 enumerate() 함수의 두 번째 인자로 시작 인덱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열거의 시작을 원하는 위치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fruits = ['apple', 'banana', 'orange'] for index, fruit in en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