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MathFunctions (4)
SeouliteLab
Python의 math 모듈에는 소수점 아래 숫자를 다루는 데 유용한 여러 함수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floor() 함수와 trunc() 함수는 비슷해 보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두 함수의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floor() 함수 floor() 함수는 주어진 숫자를 내림하여 이전으로 가장 가까운 정수를 반환합니다. 즉, 소수점 아래 숫자를 모두 버리고 그 아래 정수로 내림합니다. 예제 코드 1 아래의 예제 코드는 floor() 함수를 사용하여 소수점 아래 숫자를 내림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import math x = 3.7 result = math.floor(x) print(result) # 출력 결과: 3 trunc() 함수 trunc() 함수는 주어진 숫자의 소수점 아래를 ..
Python의 math 모듈에는 소수점 아래 숫자를 버리는 trunc() 함수가 있습니다. 이 함수를 사용하면 숫자의 정수 부분만 남기고 소수점 이하 숫자는 버릴 수 있습니다. 예제 코드 1 먼저 간단한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import math x = 3.7 result = math.trunc(x) print(result) # 출력 결과: 3 위의 예제 코드에서는 3.7이라는 숫자를 trunc() 함수로 버리면 3이 출력됩니다. 즉, 소수점 아래 숫자가 버려지고 정수 부분만 남게 됩니다. 예제 코드 2 또 다른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import math y = -2.5 result = math.trunc(y) print(result) # 출력 결과: -2 이번에는 -2.5라는 음수를 trunc() ..
Python의 math 모듈에는 소수점 아래 숫자를 내림하는 floor() 함수가 있습니다. 이 함수를 사용하면 숫자를 이전으로 작은 정수로 내릴 수 있습니다. 예제 코드 1 아래의 예제 코드는 floor() 함수를 사용하여 소수점 아래 숫자를 내림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import math x = 3.7 result = math.floor(x) print(result) # 출력 결과: 3 예제 코드 2 또 다른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import math y = 4.9 result = math.floor(y) print(result) # 출력 결과: 4 예제 코드 3 마지막 예제 코드입니다. import math z = 2.0 result = math.floor(z) print(result) # 출력..
파이썬에서 소수점을 버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정수형 변환 및 다양한 수학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주로 사용되는 몇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1. int() 함수 사용 x = 3.7 result = int(x) print(result) # 출력 결과: 3 2. math 모듈의 floor() 함수 사용 import math x = 3.7 result = math.floor(x) print(result) # 출력 결과: 3 3. 내림 연산자 사용 x = 3.7 result = x // 1 print(result) # 출력 결과: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