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SeouliteLab
파이썬으로 이차방정식 풀기: 프로그램 예제와 설명 본문
예제: 이차방정식 풀기 프로그램
# 이차방정식의 계수를 입력받아 이차방정식을 푸는 프로그램
import cmath
# 계수 입력 받기
a = float(input("이차항의 계수를 입력하세요 (a): "))
b = float(input("일차항의 계수를 입력하세요 (b): "))
c = float(input("상수항의 계수를 입력하세요 (c): "))
# 판별식 계산
discriminant = (b**2) - (4*a*c)
# 근의 공식 사용하여 해 구하기
root1 = (-b - cmath.sqrt(discriminant)) / (2*a)
root2 = (-b + cmath.sqrt(discriminant)) / (2*a)
# 결과 출력
print(f"해는 {root1} 와 {root2} 입니다.")
설명:
위 예제는 사용자로부터 이차방정식의 계수를 입력받아 이차방정식을 푸는 파이썬 프로그램입니다.
사용자로부터 이차방정식의 계수를 입력받습니다.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이차항(a), 일차항(b), 상수항(c)의 계수를 입력받습니다.- 입력된 값은
float()
함수를 사용하여 실수형으로 변환합니다.
판별식을 계산합니다.
-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은
b^2 - 4ac
로 계산됩니다.
-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은
근의 공식을 사용하여 해를 구합니다.
- 근의 공식은
(-b ± √(판별식)) / (2a)
입니다. cmath.sqrt()
함수를 사용하여 복소수 제곱근을 계산합니다.
- 근의 공식은
계산된 해를 출력합니다.
print()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된 해를 화면에 출력합니다.
위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이차방정식의 계수에 따른 해가 화면에 출력됩니다.